[Korea News] 한국 미술이 ‘프리즈 서울’에 닿기까지 어떤 일이 있었을까?
[한국 미술사①] 100년 전 ‘조선미술전람회’부터 길어 올린 한국 미술 이야기어느 날, 갤러리에 한 이탈리아인이 찾아왔다. 당시 한국과 해외 아티스트 작품 몇 점이 걸려 있었다. 작품들을 둘러보던 그와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게 됐다. 그가 대뜸 한국의 한 젊은 아티스트가 그린 작품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자신의 느낌에 바탕을 둔 의견이겠거니 듣고 있었지만, 점점 불편해졌다. 한국 미술계 전반에 대한 비하의 뉘앙스가 담겨 있었다. 살짝 화도 났다. 한국과 한국 미술에 대한 인상 비평만 늘어놓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한마디로, 잘 알지도 못하면서! 은연 중에 유럽 우월주의도 드러나고 있었다. 특히 그는 함께 걸려 있던 데이비드 호크니 작품에 대해서는 어떤 비평도 거부했다.화가 났던 한편으로 편견과 무지가 어우러진 외부 시선이 가지는 한계를 엿봤다. 그 시선이 품은 해석을 마냥 잘못됐다고 냉소할 것은 아니었다. 물론 일차적으로 그가 무지와 편견을 바탕으로 한국(미술)과 아티스트를 비하한 것은 잘못이다. 한편으로 한국 미술도 외부에 자신을 충분히 알리지 못한 것은 아닐까? 여기에는 다양한 이유가 복합적으로 있을 것이다. 그래서 나는 그 이탈리아인을 비롯해 한국밖에서 한국 역사와 미술, 문화에 대해 가진 오해와 무지, 편견에 균열을 내고 싶었다. 이 글을 쓰는 이유다.프리즈 서울 중앙홀에 백남준의 비디오 아트 작품이 설치돼 관람객의 눈길을 끌었다. Ⓒ허지영지난 9월 ’프리즈 서울(Frieze Seoul)’이 열렸다. 아시아에서 처음 열린 프리즈는 어마어마한 관심을 끌었다. 과장을 보태자면 서울이 들썩들썩할 정도였다. 오죽하면 서울시까지 나서서 내년 프리즈 서울을 ‘이건희 미술관’이 들어설 예정인 송현동 부지에 열어도 좋다고 할 정도였을까. 그렇다면 한국이 갑자기 마술처럼 미술 열풍에 빠져든 것일까? 100년 전에는 과연 오늘을 상상할 수 있었을까?100년 전을 언급한 이유가 있다. 1922년은 한국의 첫 살롱전이라 할 수 있는 ‘조선미술전람회’가 열린 해다. 선전(鮮展)이라고도 불렸던 이 전람회는 조선총독부가 개최한 미술작품 공모전이었다. 당시, 한국은 일본 제국주의에 국권을 뺏긴 상태였다. 조선총독부가 문화통치 일환으로 만든 전람회였지만, 1945년 한국이 해방을 맞기 전까지 거의 유일한 미술작가 등용문이었다. 나라가 없는 상태에서 아티스트들은 어떤 마음으로 작품을 만들고 출품했을까. 1922년부터 1944년까지 23회를 이어간 선전의 공모 수상작들에는 알게 모르게 시대ㆍ사회적 상황이 담겨 있을 것이다.프리즈 서울에 참여한 갤러리 현대 부스에 출품된 박현기의 미디어아트. 박현기는 한국 미디어 아트 1세대 작가로 실험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