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News] “작년 4분기 한국 미술 경매시장 낙찰액 61% 감소… 구매자 주도 시장 전환”
한국 미술품 경매시장이 구매자가 가격 협상에 우선권을 쥔 구매자 주도 시장(Buyer’s market)으로 돌아섰다는 분석이 나왔다. 다만 이런 양상에서도 세계적 명성을 지닌 이우환 작가의 작품 수요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한국미술품감정연구센터(Korea Art Authentication & Appraisal Research Center, 이하 KAAAI)이 발표한 ‘2022년 4분기 미술시장 보고서’(Art Market Report 4th Quarter, 2022)에 의하면, 2022년 4분기 미술 경매 시장 낙찰 총액이 250억 2천만 원을 기록했다. 2021년 같은 기간보다 약 61% 줄어든 수치다. 판매 작품 수도 354점으로 앞선 해 같은 기간보다 약 53.5% 감소했다. 이런 양상은 12월 마지막 경매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때는 치열한 경합이나 눈에 띄는 경매 기록도 없었다. 이에 따라 한국의 양대 경매사인 서울옥션과 케이옥션 낙찰액도 전년동기대비 절반이상 줄어드는 등 KAAAI는 미술 경매 시장이 이미 조정기에 들어갔다고 평가했다. 이는 지난해 하반기 세계적인 경기침체와 금리인상 여파가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출처: 한국미술품감정연구센터(KAAAI).구매 심리 악화는 낙찰률 하락으로도 이어졌다. 시장은 이에 구매자 주도로 돌아섰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출품 취소 비율도 2021년 약 2.5%에서 2022년에는 두 배 이상 오른 5.25%를 기록했다. 특히 최저 추정가 10억 원대 출품작 중 약 64%가 경매시작 전 취소됐다. 낙찰된 작품들도 하한가선이나 그보다 낮은 가격선에서 거래가 이뤄졌다.이런 상황에서 KAAAI는 이우환 작가를 “멈춰 있는 시장을 움직이는 단 하나의 블루칩”으로 꼽았다. KAAAI는 이어 “경매 기록뿐만 아니라 보이지 않는 유통시장, 조각투자와 미술품 신탁펀드 등 새로운 유형의 투자 플랫폼에 이르기까지 다각적으로 확대되어가는 미술시장에서 조정기에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카드”라고 덧붙였다. 그렇다고 이우환이 지난 4분기 경매시장에서 성적이 좋았던 것은 아니다. 2021년 4분기 이우환 출품작은 34개, 낙찰총액은 53.2억 원이었으나 2022년 4분기에는 16개, 18.81억 원으로 뚝 떨어졌다. 이는 미술품 경매시장이 어려워진 상황을 대변하고 있다. 아울러 이우환 작품은 케이옥션의 새해 첫 경매에 등장한다. 케이옥션은 18일 서울에서 열리는 경매에 이우환의 1977년작 ‘선으로부터 No.77072’(추정가 7~10억 원)을 비롯해 80억 원 규모 작품 84점이 출품된다고 밝혔다.케이옥션 새해 첫 경매에 출품된 이우환 작가의 ‘선으로부터 No.77072’. 사진 제공: 케이옥션한국 경매시장에서 해외 작품들의 4분기 성적도 저조했다. 해외 작가 작품은 2022년 4분기 117점이 출품돼 낙찰 건수는 61점(낙찰률 약 58.1%)이었고, 낙찰총액은 약 51.4억